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고강도 고연성을 갖는 복층강판개발

전문가 제언
○ 종래의 페라이트기지에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를 혼합시킨 이상조직강(Dual Phase)이나 일반자동차용 강판에서는 인장장강도 1200MPa 이상, 파단연신율 20% 이상의 높은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없는 실정이었다. 최근 마르텐사이트강의 높은 강도를 살리면서 높은 연성을 갖는 복층강판이 개발되고 있다.

○ Ozeki Toshiko는 인장장강도 1200MPa 이상, 파단연신율 20% 이상의 초고강도와 연성을 둘 다 겸비한 복층강판을 개발하였다. 또 초고강도-고연성의 복층강판을 자동차 정면구조재로 사용하기 위한 역학, 조직, 시뮬레이션에 관한 요소연구도 병행하여 연구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종래의 획일적인 철강재료에서 도달할 수 없었던 특성, 즉 균일한 복층재료를 개발하면서 금속-금속 계면의 기구와 제어특성을 밝혔다.

○ 일반적으로 강판은 강도가 높으면 가공성이나 연신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개발한 복층강판은 강도도 높고 연신율도 향상시킨 강으로서 대표적인 도요타 자동차강판에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Mn, Si, C 등을 첨가하여 내 충돌, 강도와 가공성을 향상시킨 TWIP(Twinning Induced Plasticity)강과 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강을 생산하여 자동차용 강판으로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 2006년 8월 과학기술정책동향자료(NDSL)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초고강도 경량자동차용 복층강판과 Ti시트 개발을 시작으로 현대제철에서 2008년부터 인장강도 1200MPa급 차세대 자동차강판이나 충격흡수용 고강도 저비중 U-AHSS(Ultra-Advanced Higj Strength Steel) 국산강판을 개발 중에 있다. 동부제철에서는 자동차 아연도 강판, 석도 강판을 생산 중에 있고, 대한철강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2중 복합판넬을 건축용으로 생산하고 있다. 안정성 확보와 연비절감을 목적으로 향후 국내에서도 자동차용 복층강판을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Ozeki Toshihik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79(10)
잡지명
金屬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908~912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