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친화형 자동차용 이차전지의 개발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의 주요 대책 중 하나로서 전기자동차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각국이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이차전지의 양극소재로는 망간스피넬 계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중국의 BYD 등은 인산철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탑재한 전기자동차를 시판하고 있다.

○ 이 보고서는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하나로서 일본의 Subaru 자동차가 개발한 리튬 pre-doped 나노 바나듐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개발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 일본은 전기자동차용 축전지의 개발을 위해 정부연구기관, 대학, 완성차 및 전지 제조업체 등이 참가한 NEDO LiEAD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Nissan과 Honda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개발에서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판단하여 전기자동차 개발에 나섰고 NEC와 GSYuasa 등과 합작하여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생산시설을 건설하였다. 특히 Nissan은 미국의 재생재투자법을 활용하여 미국 내에 대규모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 미국은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경친화형 자동차 관련 생산시설의 미국 내 건설과 보급 환경 조성을 지원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을 배정하였는데 한국의 CPI/LG화학, Kokam/Dow 등도 미국의 정책적 지원을 받아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산공장을 미국 내에 건설 중에 있다.

○ 우리나라는 전기자동차용 축전지를 27대 성장산업기술의 하나로 채택하고 있다. 삼성SDI 등의 관련 기업들이 기술 개발의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고 독일 BOSCH 등의 자동차 부품기업과도 공동개발하고 있다.

○ 그러나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경쟁력 특히 안전성과 내구성 및 가격에서 비교 우위에 설 수 있는 소재에 대해서는 기술개발 역량을 더 높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기초 핵심기술/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개발전략이 절실하다.
저자
M. Tanigu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63(9)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7~23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