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방 우랄산맥에 분포하는 Taikeu광화대의 탄탈륨-니오븀 광화작용
- 전문가 제언
-
○ 탄탈룸(Ta)과 니오븀(Nb)은 희유금속으로서 주 광물들인 컬럼바이트, 파이로클로어 및 퍼규소나이트에 함유되어 산출된다. 탄탈룸은 전성, 연성이 풍부하며 내식성이 강하다. 공기 중에서 산화하기 어렵고, 플루오르화수소 이외의 산에는 녹지 않는다. 인견 제조용 노즐, 열 교환기, 진공관 재료 따위에 쓰인다. 탄탈룸의 원자번호는 73, 원자량은 180.9479이다.
○ 니오븀은 원소주기율표에서 바나듐 족에 속하는 전이원소의 하나로 광석(컬럼바이트 등)에 함유된 회백색의 고체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강하다. 내식성과 내열성이 높아서 각종 합금의 첨가 원소로 그리고 초경량 신소재 생산에 널리 쓰인다. 니오븀은 원자번호는 41, 원자량은 92.906이다. 니오븀의 용융점은 2,468℃, 탄탈룸은 2,996℃로 니오븀이 낮으며 비중 또한 니오븀이 8.5g/cm3, 탄탈룸이 16.6g/cm3로 니오븀이 적다.
○ 국내외적으로 신소재와 IT융합제품에 합금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니오븀과 탄탈룸은 브라질, 캐나다 및 중국에 집중 매장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니오븀과 탄탈룸의 매장량이 극히 빈약하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급 불안이 큰 희유금속은 니오븀, 비스무스, 바나듐, 코발트, 게르마늄, 인듐, 망간, 몰리브덴 등 8가지다.
○ 러시아에서는 저품위 원광에서 희토류 금속과 병행하여 니오븀-탄탈룸 금속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가격과 경쟁할 수 있는 사업을 2005년 완공목표로 추진하여 왔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탄탈룸이나 니오븀 관련제품을 수입 시 안정적 공급 및 가격경쟁력에서 유리하다고 판단되며 러시아와 접촉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우리나라의 실정으로는 니오븀 금속 관련 산업은 아직은 요원하나 앞으로 첨단전자기술에 소요되는 니오븀 응축기 생산시설 검토는 바람직하고, 탄탈룸 산화물 스크랩에서 오산화탄탈룸(Ta2O5) 분말을 재생하는 재활용 공장의 활성화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N. V. Vasil'ev, V. Yu. Chevychelov, G. p. Borodulin, and O. V. Udoratin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51(7)
- 잡지명
- Geology of Ore Deposi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37~548
- 분석자
- 황*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