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아민의 순환기계 질환 예방작용

전문가 제언
○ 심혈관계 질환의 팽배는 딴 나라의 문제가 아닌, 바로 우리의 현실로 다가왔다. 연간 사망자 24만 명 중 6만 명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하며, 그 중 뇌졸중 원인이 4만 명이고 나머지는 심장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사망 원인의 1위인 암과 동등한 정도이다.

○ 심혈관계 질환은 각 사람의 생활습관에 뿌리를 두고, 여러 해에 걸쳐 축적되어 드러난 결과이다. 혈관 벽에 산화 LDL이 침착하여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기까지는 단순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화를 거침을 인정해야 하겠다. 그 중심 과정이 혈관 벽의 염증이다.

○ 서구 국가들의 심혈관계 질환 발병 사례와는 다르게 일본은 선진 공업국 중에서 동맥경화에 의한 심 혈관질환 발생률이 비교적 낮은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우리나라에서도 일본과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 것은 왜일까? 섭취하는 식품이나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우리가 콩에 주목하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한때 콩의 이소플라본이 심혈관계 질환에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많은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이의 부정적 결과로 이제는 WHO에서도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어떤 성분인지는 분명히 지적할 수는 없으나, 콩의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가치는 여전히 유효한 상태로 남아 있다.

○ 혈관벽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핵심 요인은 LFA-1의 발현 때문이다. LFA-1이 없으면 염증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적당한 수준에서의 LFA-1 발현을 억제한다면 염증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동맥의 경화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목표에, 콩에 풍부히 들어있는 spermidine 등 폴리아민이 LFA-1의 발현 및 염증 억제에 유효함을 확인한 것이다. 앞으로 콩의 폴리아민에 대한 활용방법 관련 연구가 이런 관점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SODA Kuniya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51(12)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5~64
분석자
남*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