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혁신의 여러 원천: 기업이 새로운 경영기법을 도입하는 경우
- 전문가 제언
-
○ Peter Drucker교수는 경영혁신은 기업가정신을 발휘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기존자원이 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는 활동으로 보고, 그 원천으로서 예상치 못했던 일, 실제와 당위 간의 불일치, 프로세스상의 필요, 산업 및 시장구조의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 인식과 지각의 변화, 새로운 지식을 제시하고 있다.
○ 혁신은 결코 새로운 개념은 아니며, 기업은 생산성 증대, 고객만족도 및 경쟁력 유지를 항상 추구해야 하므로 새로운 경영기법의 도입은 기업에 있어서 항상 중요한 이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1997년 IMF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이 본격화됨과 동시에 많은 기업에서 경영혁신이 우선적 목표로 강력히 추진되어 왔다.
○ 이 글에서 소개된 연구는 비록 영국의 3,600여 개 기업에서 수집된 제한된 자료를 사용하였지만, 개별기업에 있어서의 경영혁신의 원천을 학술적으로 조사 분석한 것으로서 시의에 맞는 참고자료가 될 것이며, 그 내용은 개별기업이 새로운 업무처리 방식을 도입하는 데 있어, 기업의 내부정황과 외부로부터의 새로운 지식탐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시도한 것으로서 향후 그에 상응하는 추가연구, 보완연구가 기대된다.
○ 또한, 앞으로의 연구는 새로운 경영기법이 기업 내에 어떻게 전파되고 이러한 전파과정에서 다른 위치에서 하는 역할에도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내부직원과 외부인사가 경영혁신 과정에서 하게 되는 각기 다른 역할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내부직원은 실제적인 시행에 더 관여할 것이고, 컨설턴트 같은 외부인은 합법화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 기업은 생산혁신과 공정혁신 역량에 못지않게 경영혁신 역량에 투자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취하고자 한다. 그러나 일시적, 지리적 및 기관 차원에서의 어떤 경영혁신이 바로 성과 산출을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매우 효과적인 혁신이 있는 반면에 비효과적이거나 심지어는 지장을 주는 혁신도 있을 수 있다.
- 저자
- Michael J. Mol, Julian Birkinshaw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62
- 잡지명
-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269~1280
- 분석자
- 김*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