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래산업에서 내향적 개방형 혁신을 체계화하는 흡수역량의 구축

전문가 제언
○ 재래산업에서 개방형 혁신의 흡수역량에 따로 관심을 갖는 바는 기업별 역량의 형성이 취약하여 특별한 대안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혁신을 위한 흡수역량이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소화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예측하는 능력을 통칭하는 개념으로서, R&D를 촉진하고 혁신의 결정적 요인이다. 개방형 혁신은 아이디어, 기술, 정보, 지식 등을 내부·외부에 어떤 형태로 있든 획득·초빙하여 사업과 연결하여 제품, 프로세스, 경영 등의 혁신에 활용하는 것을 뜻해 왔다.

○ 재래산업(직물, 도자기, 시멘트, 도로, 공사, 목제, 가구, 금강석, 기계류, 도금, 도장, 야금, 용접, 포장 등)에도 혁신이 필요한데, 그동안 논의되어 온 혁신의 수단으로는 개방형 혁신이 유효하고, 외향적 개방형 혁신은 별도로 하더라도 내부R&D에 더하여 외부의 기술·지식을 활용하는 내향적 개방형 혁신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지만, 이 개방형 혁신을 수용할 수 있는 흡수역량의 구축이 과제로서 대두되는 것이다.

○ 재래산업에는 중소기업이 많이 포진되어 규모의 문제 등으로 대부분 개방형 혁신에 익숙지 않고, 유능한 R&D부서 등의 흡수역량이 결여되어 중간체나 대행자, 집단적 대응 등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기에 소개된 벨기에 재래산업들의 공동체인 집단 연구센터들의 위상과 정체성, 기능과 활동성과(내향적 개방형 혁신 흡수역량의 지원)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특히 눈여겨 보아야 할 점은 이들의 제원과 재원 등이 다양하고, 관련 기업들이 회원으로 되어 있고, 회원가입의 임의성이 다양하며, 분야별 공통사항의 R&D와 개별기업별 계약연구가 공존하며, 중간매개체로서 R&D활동과 R&D관련 활동이 혼합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이들 센터들의 비중과 성과에 대한 학술적인 분석결과가 의외로 긍정적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국가 및 산업의 규모와 편성, 문화 등의 차이를 감안하되 유사제도의 도입가치가 있는지와 관련,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바람직하다.
저자
Andre Spithoven, Bart Clarysse, Mirjam Knockaer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0
잡지명
Technov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30~141
분석자
송*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