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그네슘 합금의 변형기구와 상온 가소성 확장의 가능성

전문가 제언
○ 마그네슘은 그 밀도가 알루미늄의 2/3에 불과하므로 자동차나 항공기의 구조용 재료나 부품 등에 사용될 경우 높은 연비는 물론 그에 따른 환경오염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합금은 그 결정구조의 특성 때문에 상온에서의 소성가공이 어렵다.

○ 마그네슘합금을 소성가공하기 위해서는 재료와 금형을 모두 250℃ 이상으로 가열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현재 대부분의 마그네슘합금 부품은 다이캐스팅법에 의해 주조하고 있다. 그러나 얇은 두께가 필요한 부품에는 주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마그네슘합금 박판의 상온성형법이 필요하게 된다.

○ EU와 북미는 마그네슘소재 자동차 개발을 위한 공동 컨소시엄을 구성해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고,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우리 정부도 2012년 상용화를 목표로 자동차용 마그네슘소재 개발을 국책 과제로 삼아 연구개발을 독려하고 있다.

○ 마그네슘합금에 상온 성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합금을 고안하거나 합금의 조직을 성형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 주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물론 이 두 가지 방법을 조화시킨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면 더욱 이상적일 것이다.

○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새로운 합금의 개발이 필요하겠지만 그런 합금은 기존의 상용합금과 화학조성이 크게 다를 것이므로 기존 합금에 대해 이미 확립되어 있는 표면처리, 접합 등 주변 기술도 새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기존 합금의 결정립 미세화나 집합조직의 개선 등에 주력하여 마그네슘합금의 상온 성형성 개선을 추구하는 것이 더 실용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R. Barnett, N. Stanford, P. Cizek, A. Beer, Z. Xuebin, and Z. Keshavar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61(8)
잡지명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9~24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