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아에서 고령자까지의 장내균총 변화

전문가 제언
○ 최근 몇 년 동안 인간의 장내균총(human gut microbiota) 조성과 기능에 대한 이해가 지속적으로 증진되어 왔다. 많은 미생물학자에게 유아의 장내균총 연구 분야가 커다란 흥미를 유발하는 것은 장내균총에 영향을 미치는 매혹적인 생태학적 매개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① 무균 상태인 모체의 자궁에서 다종다양한 세균이 만연하는 일상적인 생활환경으로 전환될 때 유아의 미생물균총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무엇인가?
② 어떠한 요인이 이러한 정착 과정을 조절하는가?
③ 장내균총이 성인형에 도달하는 데에는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
④ 생애 초기의 미생물균총은 인생 후반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그러나 유아 미생물균총(infant microbiota)의 장내 정착성, 자연적인 천이 및 안정화 등 유아의 장내균총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항생제 치료, 장 기능 장애 및 비만 등과 같이 장내 미생물균총을 교란시키는 특수한 조건 등을 고려하면서 건강한 성인의 미생물균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염증성 노화(inflamm-ageing)에 대한 도전 및 장내 미생물균총이 이러한 과정과 상호작용하는 기작을 참고하여 고령자의 특성을 규명하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 고령자의 장내균총에 대한 연구를 진작시키는 가장 강력한 요인 중의 하나는 고령자의 염증 상태가 장내균총에 의해서 조절된다는 것이다. 고령자의 장내균총 조성을 인지하게 되면 synbiotics 등을 사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에는 장내균총 조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이러한 미생물균총의 변화가 실험 참여자의 질병이나 식이 섭취의 변경에 의해 이루어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규모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설을 최종적으로 시험하기 위해서는 연령층, 성별, 지리적인 기원, 식이 섭취 및 건강 상태 등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다수의 인구집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qPCR 등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의 응용은 대규모 집단 연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저자
Paul W. O'Toole and Marcus J. Claes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0(4)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81~291
분석자
정*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