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촉매이용 메탄분해에 의한 수소생산의 전 과정평가
- 전문가 제언
-
○ IEA는 2007년도 석탄과 천연가스의 사용량(5,696Mtoe)이 세계 에너지소비량(12,013Mtoe)의 47.4%였고, 2030년에는 소비량(16,790Mtoe)의 50%인 약 8,450Mtoe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2009년도 세계에너지), 최근 CO2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어 이의 사용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수소에너지 시대는 경제성 때문에 30년 이후에 도래할 것이지만 실증을 위해 운전 중인 IGCC기술과 개발 중인 A-IGFC는 경제성과 CO2배출 등 많은 문제가 있으므로, 천연가스를 분해하여 CO2를 전혀 발생하지 않고 동시에 수소와 탄소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곳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 같다.
- LCA결과 CO2배출량(gr/kWh)은 IGCC+CCS이 150, NGCC+CCS은 100, PP+Oxyfuel이 80이지만, 탄소촉매를 이용하거나 플러스마를 이용해 메탄 등 천연가스를 분해해서 수소와 청정 탄소를 생산하는 기술(AD: Autogenerated catalyst Decomposition of methane)에서는 CO2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탄전환율의 증가, 대규모화 및 경제성 확보에 많은 개발과 투자가 필요하다.
○ Ni 등 금속촉매를 사용하여 메탄을 분해할 때 발생하는 탄소가 촉매에 침적하여 활성을 저해하고 촉매재생에 에너지가 많이 소비된다. 이런 문제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발생하는 일부 탄소를 촉매로 활용해서 탄소침적과 재생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리고 생성하는 수소는 연료전지 등에 사용하고 탄소는 정제해서 활용을 확대하므로, 에너지 비를 줄이고 경제성이 높으며 CO2의 배출도 제로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청정연료 생산과정을 전 과정평가로 비교하고 있다.
○ 이 연구는 메탄분해에 의한 수소생산의 전 과정만을 평가하고 있어, 석탄을 메탄화 하는 공정을 포함해 IGCC+CCS, IGFC+CCS와 비교하는 LCA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현대자동차와 에너지연구소 등 많은 기관이 수소연료를 개발하고 있지만 효율성, 환경성, 경제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서는 LCA연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J. Dufour, J. L.Galvez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05~1212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