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분야의 기후변화 적응
- 전문가 제언
-
○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침구 빈발로 교통인프라에 올 수 있는 피해와 비용, 교통수요의 변화 등에 관해 검토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제시한 분석내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여객, 화물운송의 예상되는 변화는 세계 무역의 패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서 우리나라의 상황과 연결하여 농산물, 에너지 수송, 관광객 여행수요 등을 예측해야 한다.
○ 북극항로와 같은 새로운 항로로 비용절감도 예상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물류 중심지와 연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
○ 한반도 남서 해안지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이 나타나며 충청남도와 전라남도 해안지역의 예상침수로 도로, 철도, 항만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대한 예상계획 수립과 시설 파손에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취약지와 해수침식으로 인한 교통시설 붕괴, 항만파괴 가능성, 해일의 연안재해 발생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 항만구조물 위험도 평가에서 해수면 상승 전후의 안전성과 기능성이 목표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보수?보강을 해야 한다.
- 저자
- M.J.Koetse, P.Rietvel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4
- 잡지명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05~221
- 분석자
- 황*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