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오븀계 무연 압전체의 현상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모바일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과 디지털 산업의 확대로 압전 세라믹스의 용도는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이 중에서 PZT(Pb-Zr-Ti)계 압전재료는 성능이 우수하여 활용도가 매우 높다. 이 재료는 약 65%의 Pb 성분을 함유한다.
○ 유럽연합(EU)에서는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이 시행되고 있다. 이 내용은 납(Pb), 카드뮴(Cd)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전자부품 또는 전자기기에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납을 사용하는 압전 세라믹스는 새로운 재료 성분으로 대체하여야 한다.
○ 이 규제를 탈피하기 위한 무연 압전재료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그리고 압전 액추에이터와 모터 등 시장의 요구조건에 맞추기 위한 새로운 물질로 구성된 고성능의 압전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앞으로 압전효과를 이용한 각종 센서, MEMS 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 또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적용되는 초정밀 자동제어장치 등에 용도가 크게 확대될 것이다.
○ 우리나라는 압전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잉크젯 프린터 등 전자기기 산업분야에 큰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된 여러 산업체가 디바이스에 필요한 압전체의 연구 활동이 활발하다. 또 미래의 희망적인 압전재료 시장을 기대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많은 대학, 연구소, 벤처기업들이 연구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 그러나 원천기술이 부족하여 모방기술에 그치고, 특히 압전 세라믹 소재시장만 보았을 때는 시장규모도 협소한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발표된 내용처럼 기초기술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 성과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과감한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 저자
- Kakimoto Keni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22(7)
- 잡지명
- マテリアル インテグレ-ション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1~45
- 분석자
- 허*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