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솔리드를 이용한 매립지의 식물복원정화

전문가 제언
○ 인구증가, 삶의 질 향상, 그리고 대량소비 현상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쓰레기 처리는 비용이 적게 드는 단순한 매립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매립은 효과적인 폐기물처리 방법이지만 침출수와 매립가스의 생성을 수반하여 주위의 토양, 지하수 및 대기를 오염시킬 위험이 있다.

○ 식물환경복원(phytoremediation)은 식물을 이용하여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오염물질은 식물의 흡수를 통하여 제거되며, 오염범위가 넓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흡수된 오염물질은 식물의 생장활동을 통하여 분해, 처리되며 식물체내에 흡수되어 농축된 중금속의 경우에는 식물 자체를 제거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한다.

○ 바이오솔리드(biosolids)는 상수 또는 공업용수의 처리, 산업폐수 및 하수처리, 그리고 폐수의 리사이클 공정 등의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미생물의 집합체인 오니 또는 슬러지 말하며, 바이오솔리드라는 명칭은 재활용자원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 많은 사람들이 매립지에 기인하는 환경문제와 인체에의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매립지 정화기술 중에서 식물환경복원은 가장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강우로 인한 침식을 줄여주고 최근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침출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에 200개가 넘는 매립장이 있으며 생활쓰레기의 증가로 앞으로도 계속 설치하여야 할 상황이다. 매립지의 악취와 침출수 문제로 인근 주민들의 민원은 계속되고 있으며 신규 매립장 건설의 찬반 논쟁이 뜨겁다. 매립이 종료된 매립지의 복토, 안정화, 공원화, 매립가스 활용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매립지의 식물환경복원에 관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대상 식물의 연구, 바이오매스의 자원화 등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저자
Kwon-Rae Kim, Gary Owen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91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91~797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