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부재로 구성된 모노레일 대차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은 모노레일 대차와 연결부재의 설계 개량을 통해 효율성과 경제성을 도모한 모노레일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대차는 과좌식(straddle type)으로서 모노레일 카의 주행표면과 2개 측면으로 된 모노레일 궤도상에서 적어도 한 대의 모노레일 카를 지지하기 위한 모노레일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모노레일 대차 어셈블리는 모노레일 카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 모노레일 대차 어셈블리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제1 모노레일 대차와 제2 모노레일 대차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제2 모노레일 대차의 외측(outboard) 안내차륜을 하나도 없게 하여 안내차륜의 마모뿐만 아니라 필요한 안내차륜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정비와 가동 면에서 비용절감을 창출하고 있다.
○ 2010년 3 월 현재 “Monorail bogie"에 관한 특허는 세계적으로 26건에 불과하다(KISTI NDSL 특허검색). 대량 교통수단이 아닐뿐더러 기존철차기술의 적용에 따른 신발명 수요가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별로는 일본 15건, 미국 7건, WIPO 3건, 한국 1건이다. 본 특허는 독일의 Bombardier Transportation사가 출원한 것으로서 동일 발명이 미국에도 출원 중이다. 한국의 유일한 특허출원은 ”산악용 모노레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과좌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일본 특허의 경우는 1990년대 출원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 모노레일에 관한 수요는 향후 관광, 농어촌, 도시교통보조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교통정책수요와 결부되어 있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열차가 곡선궤도 통과 시 롤링 감소와 안정된 승차감을 위한 연결부재는 피벗형의 탈착장치를 기준으로 연구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회피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래 모노레일 수요를 감안하여 전문기관(철도기술연)에서 대차의 안전/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설계개선을 위한 선행적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14359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7
- 분석자
- 송*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