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진주강 삼각주의 DDT 및 대사산물의 오염원과 생물학적 영향평가

전문가 제언
○ DDT는 생태독성과 오존층 파괴를 제외하면 현재까지 인류가 개발한 최상?최고의 농약이다. 1970년대까지 한국의 농토에 살포한 DDT, 군부대마다 의복류의 이를 박멸하기 위해 개인별 소(小) 주머니로 보급한 DDT도 다량이다. 이들 DDT가 담수?해수의 저질에 당연히 잔류할 것이므로, 극미량이긴 하지만 환경지속성 오염물질(POPs)로 DDT의 담수?해수 저질의 잔류량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 DDT는 말라리아 퇴치에도 큰 역할을 한다. 지구온난화 이후 말라리아모기의 급속한 북상과 아프리카, 동남아시아의 말라리아모기 창궐로 2008년 이후 UNEP에서 일부 저개발 국가에 한해 DDT의 재생산과 재사용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휴전선에도 말라리아모기가 지구온난화에 역행해 남하하고 있다. 1960년대 북한의 생화학무기 개발에 돌리지 않더라도, 지구온난화의 가속화와 더불어 한국에도 DDT의 재생산?재사용의 개연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 연구와 마련이 필요하다.

○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Dicofol은 DDT를 방출하므로 Dicofol의 사용량과 사용분야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도시?주택 온난화의 영향으로 대도시의 아파트 지하실에는 사시사철 모기가 번식하므로 이에 대한 디코폴의 살포여부와 지하실 벽면에 대한 부착방지 도료의 사용여부 조사 연구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

○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어선?상선?무역선 등의 각종 선박의 부착방지도료가 디코폴과 DDT를 함유하고 있어 항만의 저질에 그로 인한 DDT가 유입?잔류되고 있음을 인정한다. 선박용과 아파트 지하용의 부착방지도료에 대한 DDT 방출여부 조사도 필요하다. 각종 선박의 왕래가 빈번한 부산?인천?울산?광양항 등의 항만 해수의 저질에 대한 DDT 잔류량 조사 연구도 필요하다.
저자
Ying Guo, Huan-Yun Yu, Eddy Y. Ze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57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53~1763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