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전달경로의 엔지니어링
- 전문가 제언
-
○ 신호조절 경로를 엔지니어링 하는 것은 합성생물학의 핵심적 부분이다. 이 분야의 원활한 연구를 위하여 기초연구는 물론 응용연구에도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 합성생물학은 새로운 생물학적 기능과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만들기 위하여 과학과 공학이 결합된 생물학연구의 새로운 영역이다. 세계적으로도 이제 막 시작하는 분야이고 대단히 중요한 분야이므로 많은 젊은 과학 공학도의 참여가 기대된다.
○ 새로운 기능의 단백질 모듈들을 디자인하고 합성하는 분야는 우리가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IT강국이지만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다. 위의 모든 것에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디자인이 관련되어 있다.
○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무엇을 할 것인가?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가 최대의 관건이다. 원리와 방법이 있지만 창조적 발상이 아쉬운 것이다.
○ 병원균의 신호전달 경로를 엔지니어링 하여 종양세포를 인식하여 침투하게 한 것은 시기적절한 아이디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예전에도 이러한 아이디어는 있었으나 실행이 불가능하였고 지금은 그것이 실현 가능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 제약 산업계와 농수산업에서의 이 분야의 연구는 특별히 기대되는 일이다. 택솔의 생합성과 신호조절 시스템을 박테리아로 이식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겠는가? Synthetic Biology in Pharma Conference 2010(www.synthetic-biology.info)이 최초로 개최되어 제약 산업에서도 관심이 크다.
○ 미량의 위해물질 검색 등이 가능한 생물체의 제조도 가능성이 높고 다양한 이용성이 있다.
- 저자
- Christina Kiel1, Eva Yus1 and Luis Serrano1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40
- 잡지명
- Cel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3~47
- 분석자
- 김*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