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트래픽의 다중 액세스 기술
- 전문가 제언
-
○ 모바일 네트워크의 단국/소규모 중앙국/Ethernet/TDM(시분할다중화)기기 등에 콤팩트한 크기의 멀티-서비스 액세스 플랫폼 구축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중앙국의 애그리게이터(집선 장치)를 단일 건물의 구내에 설치하여 MAN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전송함으로써 end user(최종 사용자) 트래픽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및 전송 솔루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 모바일 인프라는 2G/2.5G/3G/4G의 기술발전 단계를 거치면서 3G 기술부터는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아울러 2Gbps 이상의 초고속 전송속도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전송속도의 증가는 무선채널 설정/주파수 도약/핸드오프 시 시간지연에 의한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 간의 비동기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 기술에서도 3G 무선 데이터의 효과적인 QoS를 위해 이에 대한 좀 더 정밀한 기술개선이 요구된다.
○ 인터넷 및 인트라넷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는 MAN에서의 패킷 기반 전송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가져왔다. 기존의 SONET은 전송효율은 좋으나 대역폭의 낭비와 데이터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 기술 역시 이점을 고려하여 빠른 복구/높은 대역폭 효율성/액세스 공평성/네트워크 경제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개선이 필요하다.
○ 차세대 네트워크(NGN)는 멀티 레이어 및 패킷 기반 브로드밴드 등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확장성이 높은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 및 모듈화된 소프트웨어 기법을 필요로 한다. 이에 국내 고성능 통신 및 솔루션 장비 제조업체의 강력한 솔루션 개발노력이 필요하다.
○ 2009년 8월 말 기준 국내 초고속 인터넷 가입현황을 보면, 모든 통신사 및 전송방식을 통틀어 총 16,040,880가입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LAN은 33.1%를 나타내고 있다. 이 기술은 패킷 기반 LAN에서 MAN으로 기술동향이 이동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내 기술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
- 저자
-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7476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