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력시장에서 풍력발전을 고려한 경제적 급전(economic dispatch) 및 위기관리

전문가 제언
○ 풍력발전은 에너지절약과 환경보호 특성에서 더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풍력발전의 간헐성과 예측을 불허하는 특성 때문에 풍력발전을 기존 전력네트워크에 주입할 때 많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문은 이 주제의 역사적 연구물에 대한 개관을 제공한다. 시장에서 유사하지 않은 실제조건, 여러 가지 최적 알고리즘 및 위기관리를 고려한 풍력발전의 경제적 급전계획 모델을 논의하였고 미래 경향을 전망하였다.

○ 국내에서는 제주도 풍력발전 설비의 안정도 해석(김도형), 풍력발전시스템을 포함한 전력계통 과도안정도 모의(이종순) 등이 풍력발전의 전력망 접속에 따른 안정도 문제를 다루었고 계통 안정도 특성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제주지역 풍력발전을 고려한 전력계통의 안정화방안 연구(이성규)는 풍력터빈의 전력망 연결 영향과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가장 중요한 원칙을 만족하는 풍력터빈의 최적용량을 평가하였다. 풍력터빈 용량 증가가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안정적인 운영을 달성하기 위한 용량법을 제안하였고 이것을 제주도에 적용하였다.

○ 5개 지역의 영국 풍력기지 위치에서 1일~10일 앞서 생성된 풍력발전의 확률밀도 함수를 연구하였다. 날씨 앙상블 예측으로 작성한 이들 밀도 예측은 예상 미래 값과 관련 불확실성을 설명해 준다. 최선의 풍력발전 밀도 예측과 점 예측 결과가 앙상블에 근거한 발전 밀도의 교정 및 다듬기에 의해 산출된다.

○ 개체군집최적화(PSO)가 가속상수를 결정하기 위해 12곳(10곳의 기존 화력발전소와 2곳의 풍력기지)에 적용되었고 이들 시험시스템의 해법평가는 최적에 근접한 계획이 PSO로 얻어질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저자
Ren Boqiang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69~2174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