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 분해에 의한 수소 생산
- 전문가 제언
-
○ 지구상의 인구 증가와 산업 발달로 인해 에너지 소비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국(EIA)의 보고에 의하면 2020년에는 2001년 대비 44% 증가하리라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1990년대에는 매년 10% 이상 증가했고 최근 다소 줄어들어 2000년 6.4%, 2005년 에도 4.1% 증가세를 보였다.
○ 이들 에너지의 대부분은 화석연료에서 얻고 있다. 지구상 화석연료의 매장량이 제한적이라는 이유 외에도 화석연료에서 에너지를 얻을 경우 부산물로 발생하는 탄산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는 문제가 있다. 탄산가스를 배출한다 해서 화석연료 사용을 지금 당장 중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화석연료에서 탄산가스 배출 없이 중요한 대체에너지원인 수소가스를 제조하는 기술은 선진국들이 오래 전부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기술이다.
○ 메탄을 열분해시키면 탄산가스 발생 없이 수소와 탄소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얻은 탄소는 첨가제 및 건축자제 등 응용분야가 많은 원료이므로, 이를 판매하여 얻는 수입은 수소 생산 단가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되며 화석연료를 아낀다는 측면도 있다. 메탄 열분해 기술은 탄산가스 배출 규제 정책에도 부합하는 청정 기술이다.
○ 메탄 분해반응은 흡열반응이므로 높은 반응온도를 필요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의 많은 연구자들이 반응온도를 낮출 수 있는 촉매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금속(특히 Ni) 및 탄소(주로 활성탄소와 카본블랙)의 향상된 안정성과 메탄 변환효율에 대한 최근의 연구 논문들을 종합 정리하였다. 또한 부산물로 석출된 탄소의 구조와 반응조건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들을 종합 정리하였다.
- 저자
- Hazzim F. Abbas, W.M.A. Wan Dau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60~1190
- 분석자
- 이*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