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음성 및 영상 직접위성방송용 고성능NGO

전문가 제언
○ 북미 대륙과 같이 넓은 땅에서 이동차량을 대상으로 고경사각 타원궤도의 고출력위성을 이용해 CD수준의 고품질 라디오 방송을 하는 것은 아주 효율적인 방식이라 생각된다.

○ 앞으로 위성 탑제체의 제작기술이 발전할수록 서비스의 가용도는 계속 높아지게 돼 광고 방송에 염증이 난 고객들을 유인해 앞으로도 사업성은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위성망과 지상망의 결합으로 전파음영지역도 계속 줄어들어 서비스 품질 또한 좋아지게 될 것이다.

○ 또 위성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NGO위성 3개를 2개로 위성의 수를 줄였지만 오히려 더 나은 위성 수신 감도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새로운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위성비행선의 기술이 발달하게 되면 위성비행선이 NGO위성을 대체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물론 고가의 헬륨가스 문제 등 몇 가지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되었을 경우이다.

○ 현재 국내에서는 SKT 계열의 TU미디어에서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직접위성방송을 하고 있다. 하지만 당초 기대만큼의 가입자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국내는 서비스지역이 작을 뿐 아니라 지상망이 많이 발전해 있고 무료지상파 DMB서비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의 경우 상업적인 목적보다는 유사시 재난 대비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이런 시스템을 검토해 볼 가치가 충분히 있으리라 믿어진다.

○ 앞으로 위성디지털 음성서비스가 계속되는 한 고경사 타원궤도 위성은 거의 10∼15년 주기로 계속 보완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보다 큰 위성탑재 안테나와 훨씬 높은 EIRP(등방성 방사력)를 가진 위성으로 대체하게 될 것이다.
저자
Robert D. Briskmana, and Joseph V. Fous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66
잡지명
Acta Astronautica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914~921
분석자
김*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