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브렛 분석을 통한 공구상태 모니터링
- 전문가 제언
-
○ 웨이브렛 변환 방식은 우리나라에서도 영상조작, 영상분석, 영상인식, 영상통신 등의 디지털 영상처리, 화상 및 음성 압축, 지문인식 및 분류, 심전도 맥파 인식 및 분류 등 각종 신호처리 분야에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계가공 중의 공구상태 모니터링(TCM)에는 약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이다.
○ 대체적으로 우리나라 기계가공, 특히 정밀가공의 수준은 아직 최고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제작하는 공작기계도 정밀도가 떨어져서 초정밀 가공기계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기계가공기술의 발전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 웨이브렛변환을 적용한 TCM 기술의 도입 또는 활성화가 필요하다.
○ 이 논문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웨이브렛 변환을 TCM에 적용할 때 상황마다 다양하게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소개된 웨이브렛 변환의 적용이 매우 다양하고 내용도 다르다. 기계가공의 조건이나 방법이 매우 다양하므로 통합된 접근법을 찾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논문의 저자는 밀도추정이 특성추출과 분류의 단계를 통합하고 있으며 간결하고 쉽게 시행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다만 웨이브렛을 이용한 밀도추정의 밀도범위가 현재보다 더 넓어야 적용성이 더 클 것으로 보이며 이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제안한다.
- 저자
- Zhu Kunpe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9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Tools and Manufactur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37~553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