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를 위한 방법과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서 비만이라는 생리적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성인병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률을 높인다는 사실은 많은 역학조사에서 밝혀졌고 실제로 체중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킨다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Framingham Heart Study를 통해 밝혀진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들을 포함하고 있을뿐 아니라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전 단계에 해당한다.
○ 렙틴은 중추신경계에서 식욕유발성신경의 활성을 감소시켜 주고 식욕부진성신경의 활성은 증가시켜 음식섭취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말초조직에서 렙틴은 췌장의 췌도 세포내에서 중성지방을 감소시켜서 저인슐린증을 유발한다. 인슐린 역시 지방세포에서 렙틴 생성을 자극하므로 이러한 adipoinsular axis의 불균형이 고 인슐린증을 유발하여 비만환자에서 인슐린저항성 당뇨병의 한 가지 병인의 요소를 제공하게 된다.
○ PubMed에 보고된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렙틴과 인슐린은 시상하부 상에 작용하는 중요한 식욕부진성 호르몬으로서 대부분의 비만인이나 동물에서 렙틴과 인슐린에 대한 시상하부의 반응이 감소되었으며 ERS의 증가가 비만동물의 간에서 인슐린저항성을 초래함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비만동물에서 시상하부의 ERS 증가가 렙틴과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본 발명에서 기술된 ERS를 감소하거나 예방하는 다양한 새로운 약물과 조성물들이 다수 구명되어 비만과 그 관련 질환들의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은 크지만 비만의 핵심인자로 확인된 렙틴과 ERS와의 상호관계의 생화학적 기전이 분자수준에서 좀 더 상세히 해명되고 그 안전성이 확립된다면 당뇨병 등 비만관련 질환의 새로운 의약품 개발도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 저자
-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14026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5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