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차전지 개발 최전선

전문가 제언
○ 전지는 크게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분류된다. 1차 전지는 재충전을 할 수 없는 1회 사용 전지를 말한다. 이에 반하여 2차 전지는 충전이 가능하여 재차 사용이 가능하다. 1차 전지에는 망간건전지, 알칼리건전지 등이 있다. 2차 전지로는 대표적으로 니켈카드뮴전지(니카드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다. 여러 가지 이차전지 중에서도 리튬 이차전지는 방전전압이 높은 외에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다. 그 때문에 현재 가장 점유율이 크고 연구개발도 정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자동차는 일본, 한국은 물론 구미 각국에 있어서도 기간산업의 하나이다. 이 때문에 각국은 앞 다투어 HEV, PHEV, EV 등 차세대 자동차의 개발을 서두르고 있고 그의 키 테크놀로지가 되는 이차전지의 연구개발에 온 힘을 들이기 시작하고 있다.

○ 지구 환경대책으로서는 향후 재생가능 에너지의 이용효율을 높여 가는 것도 중요하다. 여기에도 이차전지가 담당하는 역할이 매우 크다.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에 의한 발전양은 시간대나 기상조건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발전 시 축전하여 필요할 때 안정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이차전지가 필요하다. 가까운 장래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라 하는 계통 연계가 도입되면 대량의 2차 전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개발이 세계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다.

○ 현재 한국은 일본보다 출발은 늦었지만 상업화 측면에서는 거의 동등한 수준이라고 보기도 한다. 현재 대표주자로 부각되고 있는 LG화학 등의 대기업뿐만 아니고 다양한 중소기업에서도 부품 및 신규 소재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우수한 관련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차세대 기술을 위한 기초 연구 또한 매우 활발하다.

○ 저탄소 사회의 실현과 국제경쟁력의 유지라고 하는 양면적 입장에서 이차전지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재료를 중심으로 한 화학의 힘이 한 발짝 더 나아감에 따라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Yamada Hiro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62(11)
잡지명
化學と工業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163~1167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