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성이 향상된 체내이식형 의료 디바이스
- 전문가 제언
-
○ 의료분야에서는 심박 조율기(pacemaker), 약물주입 펌프(infusion pump), 혈관접속 포트(cardiac access port), 신경치료기 등 다양한 치료목적의 의료 디바이스를 체내에 이식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여러 조건들을 탐색해왔고 일부는 실용화하여 임상적용 중에 있다.
○ 이 발명은 피부를 통해 이식하는 의료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은 외과적 절개를 통해 최소의 침습적인 방법으로 체내이식 후에 움직임을 막을 수 있는 매우 안정된 형상의 디바이스를 제안하고 있고 대표적 디바이스로서 심박 조율기를 설정하고 있다.
○ 전반적인 기술동향 측면에서 보면, 체내삽입 디바이스는 고기능화, 소형화, 자동/지능화, 원격제어 등과 함께 안전성(safety)과 안정성(stability)이 주요목표가 되며, 시스템(디바이스구조), 전기배선, 원격조종과 제어, 에너지공급, 재료,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이 주요과제다.
○ 이 발명은 안정성에 초점이 있고, 기존의 체내삽입 디바이스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구조설계가 특허청구 범위의 핵심이다. 예컨대, 기존의 심박 조율기에서 작동오류에 의한 중요한 부작용으로 거론되어온 “Twiddlers 신드롬”을 디바이스 하우징 구조의 개선으로 해결하고자 한 것이 이 특허출원의 한 배경이다.
○ KISTI의 정보서비스시스템인 NDSL을 통해 체내이식 의료 디바이스(implantable and medical and device)의 특허출원을 검색한 결과, 2009년 2월말 현재, 전 세계 7,966건, 미국 4,687건, 유럽 1,145건, 일본 114건, 한국 18건, PCT 2,002건이었다. 한국 특허는 출원인이 Ethicon Endo-Surgery Inc. 등으로 모두 미국기업의 독점적 출원인 상황이다.
○ 체내삽입 디바이스의 설계개발은 의공학 분야이다. 국내 일부 의과대학에 의공학과가 설치되고 있으나 아직 선진국과의 연구경쟁력은 낮은 수준이다. 향후 바이오의료산업의 발전과 함께 수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하여 체내삽입 디바이스의 연구와 특허출원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 저자
- J. B. Glenn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4860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1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