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마제 유동층 기계가공기술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유동층은 코팅분야, 건조분야, 펠레타이징, 그래뉼레이션, 블렌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사용되어 왔고 우리나라에서도 유동층 연소기나 유동층 건조기 및 유동층 코팅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다. 유동층 연소는 폐기물 소각에 사용되고 있으며 발전용으로도 이용되어 국내 발전소에서 국산 순환유동층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동층 건조기는 식품이나 제약산업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유동층 코팅도 약품이나 분말식품의 제조에 적용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는 연마제 유동층 기계가공에 대한 R&D활동이 별로 활발하지 않고 유동층 기계가공도 아직 적용되지 않고 있다. 데버링 등의 표면 연마가공을 하는 대부분의 업체들은 중소기업으로 전통적인 표면처리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형편으로 연마제 유동층 가공의 비용효율성 및 환경 친화성을 비추어 우리나라 산업에도 도입?적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본 논문에서 저속가공에 대하여 롤링충격으로 가정하여 제시한 유동층 가공속도의 모델링은 연마제 입자에 대한 평균 충격깊이, 평균 입자직경, 단위 시간당 예측 충격수, 초기 평균 조도, 최종가공까지 반복가공이 필요하다. 또 각 가공 후 얻어지는 표면조도 등이 변수로서 실제가공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모델링의 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 유동층 칼럼의 크기가 클 경우 내부에서 충격에너지가 변화하고 유동층 가공이 적용 가능한 가공물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마제 유동층 가공이 효과적인 최대크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이 공정은 압축공기로 입자를 계속 불어주는 것으로 소음이 크고 최종 가공물이 연마제 입자로 오염된 채 탱크 밖으로 꺼내게 되므로 장비 주변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공물을 제거하기 전에 탱크 내에서 세척하는 방법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M Barlet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209
- 잡지명
-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087~6102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