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풍력에너지
- 전문가 제언
-
○ 기후변화와 풍력발전의 관계는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가능성과 재생 가능한 에너지 증가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 연구결과는 현재 가장 활발하게 풍력에너지를 사용하는 북유럽과 북아메리카의 사례를 다루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
○ 정부는 2013년까지 풍력발전 용량을 2,237㎿로 10배 가량 늘려(현재 276㎿) 전체 발전량의 1.8%를 풍력으로 대체하려는 계획이므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풍력관련 기술을 축적해야 한다.
○ 우리나라 기업은 풍력발전에 필요한 발전설비와 발전시설 수주 능력이 있으며, 가격경쟁력도 있다.
○ 중국은 특히 신장, 네이멍구 지역의 풍력 자원이 풍부하다. 최근에 풍력발전이 매년 30%씩 성장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있다. 중국 내륙지역은 혹한 혹서에 강한 내구재 개발로 날개와 풍력시설 기반을 혁신하면 기업의 진출 가능성은 높다.
○ 우리나라의 풍력발전 지역(백두대간과 해안의 산지)의 지역기후모델(RCM) 결과에 따른 풍속 변화, 돌풍 빈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s.c.Pryor, R.J.Barthelmi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30~437
- 분석자
- 황*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