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산형 태양광발전 및 에너지저장 시스템

전문가 제언
○ 태양광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이다. 기본 원리는 태양전지(solar cell)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 에너지에 의해 전자?양공(electron-hole) 쌍이 생겨나고, 전자(음극)와 양공(양극)사이 전압차이에 기인한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 전력시스템의 계획과 운전분야에 태양에너지와 같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분산형(distributed) 발전시스템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전력망(grid)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에너지 저장장치를 연동시키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중 황화나트륨(NaS) 배터리 방식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사용하여 전력망에 연결된 분산형 소규모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시스템이다.

○ 황화나트륨 배터리는 다른 배터리에 비해 수명이 길고, 효율이 높으며, 설치공간이 적게 든다. 따라서 황화나트륨을 구비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인구밀집 지역의 빌딩에 연결해 적용하면 송전선로가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첨단부하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를 높이고 에너지전력망에 접속이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 태양광 산업은 매년 40% 이상 성장하고 있다. 2015년경에는 반도체 또는 평판 디스플레이와 비슷한 규모의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은 정부 보조금이나 발전차액지원제가 태양광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후 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청정 에너지원 개발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 태양광 에너지가 기존 에너지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전력 생산비용을 다른 에너지와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내려야만 한다. 즉 정부의 지원 없이도 자력으로 생존할 수 있는 시점인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 : 태양광발전 단가가 기존 화석연료의 발전단가 수준으로 떨어지는 시점)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부문이 협력 체제를 이루어 노력하여야 한다.
저자
Olga Moraes Toledo , Delly Oliveira Filho , Antonia Sonia Alves Cardoso Dini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06~511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