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제조업에서 혁신결정 요인으로서의 R&D실증분석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중소제조업에서 혁신결정 요인으로서의 R&D실증분석”을 주제로 하여 몇 가지 논점, R&D와 혁신연계의 이론적·실증적 상황, 연구모델과 가설, 연구방법론·분석결과 및 토의, 함축과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품과 프로세스 R&D, 제품과 프로세스혁신을 개념적, 조직적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개념을 연구모델에 통합함으로써 중소기업에 있어서 R&D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해명하고, 더 잘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업의 혁신에 대해 기업규모, 전략, 사회자본과 같은 혁신의 중요 성공요인이나 결정요인이 설명되었으며, 이외에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중소기업에서 혁신의 결정요인이 R&D라는 점과 오늘날의 격심한 환경변화에서 R&D, 기술 및 혁신의 쇄신되고 향상된 관리는 중소제조업에게 중요한 성공요인이 되고 있다고 강조한 점이 주목된다.
○ 혁신은 중소기업의 생존, 성장 및 발전에 핵심요인으로 여겨졌고, 보다 큰 혁신역량은 글로벌 사업환경과 지식기반 경제에서 중소기업의 취약성을 상쇄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R&D가 중소기업의 혁신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R&D는 기술획득을 위해 기술혁신을 이루는 수단 및 과정으로서 기업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R&D를 통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경제는 물론이고 국가가 국제사회에서 갖는 상대적 위치를 결정해 주는 척도가 된다.
○ 이 글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정부는 중소기업의 혁신, 성장 및 국제화 수준을 더 높이면서 R&D와 기술혁신을 촉진, 지원하기 위해 정책을 수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정책의 형성은 제품 및 프로세스R&D와 혁신 간의 관계에 대한 보다 확실한 개념화와 이해에 토대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Louis Raymond and Josee St-Pierr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0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8~56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