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주머니를 이용한 편리하고 효율적인 단일클론항체의 생산
- 전문가 제언
-
○ MAb는 감염이나 암과 같은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생체의학, 질병의 진단에도 사용되는 중요한 제제이다. 이들 항체는 연구목적이 되는 어떤 물질로 면역화된 동물로부터 얻어진 세포주나 클론에 의해 생산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적절하게 준비된 마우스의 복강 내에 주입하거나 플라스크 내에서 조직 배양하는 것이다.
○ 마우스법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방법이지만 이 마우스는 일부 세포주들이 복부 내 복수의 과잉축적이나 내장침투에 의해 야기되는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1997년 초에 American Anti-Vivisection Society는 MAb생산에 동물사용을 금지하도록 NIH에 청원하였으며, 앞으로 동물사용은 더욱 어려워지리라 생각된다.
○ 조직배양법은 마우스법만큼 익숙해져 모든 세포주로 필요한 양의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면 널리 보급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동안 배양법은 상당한 기술적 조작 없이는 필요한 양의 항체를 생산하기가 어렵고 많은 시간과 경비가 드는 방법이었으나 현재는 비용이나 조작기술 등의 발달로 대량생산 시에는 보다 널리 이용가능하게 되었다.
○ 배양법을 이용하여 MAb생산비와 정제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양은 적게 고농도로 생산해야 하며 기구도 비용이 적게 드는 장치라야 한다. 이를 위해 값싼 Kidney Dialysis Cartrige를 이용한 중공섬유(Hollow Fiber)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고생산이 가능한 세포주나 클론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그러나 대량생산방법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오늘날 전신성 부작용 없이 해당병소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MAb는 아직도 인간화항체 제조에 많은 연구과제를 남기고 있다. 앞으로 고생산이 가능한 세포주나 클론의 개발과 더불어 인간화항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부작용이나 거부반응을 최소화시킨 인간화항체가 상용화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Sekin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7(9)
- 잡지명
- 生物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37~441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