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댐의 총 수은과 기체상 수은농도의 영향인자

전문가 제언
○ 수은은 유해성이 큰 액체 중금속으로서 형광등과 온도계 및 각종 기기에 이용하므로, 수은 이용 기기의 파손과 폐기로 대기와 수질환경을 오염시킨다. 특히 호수와 저수지에서 먹이그물에 들어가 장기간 서서히 생태계와 인간을 위협할 가능성이 크다.

○ 수은은 치과병원에서 아말감의 치과재료로 사용하므로, 치과용 아말감이 많은 사람에게서 마모되거나 폐기되어 환경수역으로 저농도이지만 장기적으로 다량 유입되고, 다양한 환경요인과 그 변화로, 환경 중에서 중금속의 수은으로 재유출 되어, 인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연구 활동도 세계적으로 많다.

○ 한국 소양 댐에 대한 수은의 환경행동과 잔류량에 대한 연구결과가 있으나, 대상유역이 한국에서 가장 청정한 강원도이다. 그보다 공업단지와 중소도시가 많은 낙동강(洛東江), 영산강(榮山江), 금강(錦江)의 하구 둑 안쪽 하구 호(河口湖)에 대한 수은행동과 영향을 조사하고 연구할 필요성이 크므로, 지체 없이 수행하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 한국에서 수은의 환경 생태적 영향 연구를 주도하는 ‘수은연구 전문가 워크숍’(2009년 12월)에서 수은관리 종합대책, 수은의 유통량과 배출량 통계 및 수은 배출 제어기술 동향을 보고하고, 수질환경 중의 수은 행동과 모니터링, 동아시아 및 황해의 수은 침적과 분포, 인간의 혈액 중의 수은농도 등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광범위한 연구 대상이긴 하지만, 수은 방출의 주경로인 도시 폐기물과 산업폐기물 및 하?폐수 등에 대한 수은 유입행동과 대안 연구도 필요하다.

저자
Myung-chan Ahn, Bomchul Kim, Thomas M. Holsen, Seung-Muk Y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58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7~355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