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오염점토의 정화

전문가 제언
○ 폐기물로 폐유기성점토는 고도의 수질이 필요한 각종 공업 및 의약용의 정제용으로 이용하는 활성탄, 제오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계통의 점토에서 생기고, 한국에서도 많이 발생하며, 처리에 비용이 많이 든다.

○ 토양환경 중의 폐유기성 점토는 각종의 공업단지, 주유소, 군부대 등의 인근 토양에서 발생되는 유기화합물 오염토양이다. 한국에서도 2000년대부터 토양환경보전법에서 폐유기성 점토의 복원을 규제하고 있다.

○ 폐쇄 및 이전하는 주유소 오염토양의 복원과 평택으로 이전하는 용산미군부대의 오염토양은 폐유기성점토의 재생과 정화에서, 큰 관심의 대상이어서, 미국 등의 생물학적 토양정화 기술을 도입해 한국의 토양환경에 대한 외국산 미생물의 환경순응시험도 한다.

○ 한국의 환경학계는 2000년대 들어 한국적 토양미생물을 이용해 석유화학공업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BTE(벤젠, 톨루엔, 크실렌)의 처리를 연구하고, 최근에는 유류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토양환경 중의 BTE 분해도 연구한다.

○ 폐유기성점토의 재생과 오염토양의 정화기술은 물리·화학·생물학적 처리로 구성되지만, 물리·화학적 처리기술은 유기물질의 분해효율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촉매의 개발이 필요하고, 생물학적 처리기술은 한국적 토양환경에 적합한 토종 미생물을 찾아야 한다.

○ 각종 정제공업과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유기성점토의 정화기술은 세계적으로 처리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물리·화학적 기법과 처리기간이 너무 길어서 생물학적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각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총합적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Runliang Zhu, Jiangxi Zhu, Fei Ge, Peng Yu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90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12~3216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