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센서용 재조합 항체의 제조

전문가 제언
○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바이오센서는 특히 포스트 게놈 시대에 있어 의료 진단 수준의 향상으로 BT, IT, NT 분야와 관련 첨단 소재 개발이 한층 강조되고 있다. 바이오센서는 사용 목적, 운용 방식, 분석 대상, 환경, 플랫폼 형식에 따라 적합한 구성품이 선정되고 최적화되어야 한다.

○ 바이오센서 물질로 가장 널리 쓰이는 항체는 항체 고유의 특이성과 친화력을 개선하고 응용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재조합 항체 형태로 설계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규모 항체 라이브러리 및 초고속 선별 시스템의 조속한 국내 구축이 요구된다.

○ 국내의 경우 바이오센서와 관련하여 학계, 정부 출연 연구소, 기업 등에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한 결과 혈당 센서, 어레이형 DNA 칩, 단백질 칩 등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고 관련 특허도 2000년 이후 증가 추세에 있어 기술 수준은 성숙 단계라 할 수 있다. SPR, FET 기반 센서와 랩온어칩(lab-on-a-chip) 관련 기술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나노 소재와 관련된 원천기술 확보 노력은 한층 강화되어야 한다.

○ 항체의 경우 정부 출연 연구소를 중심으로 대학, 벤처기업 등의 활발한 연구로 세포융합, 유전자 재조합, 발현 벡터 제조 등 분자생물학 관련 기반 기술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진단 및 치료용 항체 개발을 위한 항체 라이브러리 제조 및 패닝, 항체 친화성 향상 등 분야도 세계적 수준에 접근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각종 질환에 대한 새로운 생물표지물의 탐색과 분자진화 기술 확보에 더욱 힘써야 한다.

○ 향후 바이오센서의 연구개발은 기본적인 제한사항(고정화, 감도, 안정성, 다중 분석능, 소형화, 경제성, 표준화 평가 방안 등)들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집중되어야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연구 단계부터 활성화된 공동연구가 필요하며 최근의 단백질체학, 생물정보학과 같은 시스템 생물공학 기술에 IT, NT 기술을 보다 긴밀히 융합하여야 핵심기술의 창출과 응용성 확대가 가능하다.
저자
Paul J. Conroy, Stephen Hearty, Paul Leonard, Richard J. O'Kenned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0
잡지명
Seminars in Cell & Developmenta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26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