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U의 수송용 바이오연료 REFUEL 로드맵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자원으로서의 이용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 및 석탄과 같은 화석자원은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됨과 동시에 지구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에 대한 원인으로 지목받게 되어,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으로 바이오매스의 이용에 대한 연구와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 이에 유럽연합(EU) 회원국은 바이오연료 생산과 소비는 현재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급격한 발전은 바이오연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전망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EU에서는 유럽 인텔리전트 에너지(IEE: Intelligent Energy Europe)의 재정지원으로 REFUEL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분야가 서로 다른 7개의 EU 연구소는 잠재자원, 비용 및 종류별 바이오연료의 영향, 정책전략의 영향 및 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 본고에서는 REFUEL의 방법과 결과가 바이오연료의 정책에 적용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주요 요소로 집중된다: 유럽은 바이오연료를 위한 방대한 토지와 원료에 대한 적용 잠재력, 1세대 바이오연료에 의한 10%의 목표가 충족된 이후의 미래 문제에서의 2세대 바이오연료의 중요성과 2세대 바이오연료의 확대를 위한 정책전략을 언급하고 있다.

○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국가안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수입의존도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정확한 자료와 이의 활용을 위한 연구개발/보급 등의 파악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 특히 2013년부터는 CO2 감축 의무국이 되는 우리나라도 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한 화석연료 사용억제는 물론 산업전반에 걸친 CO2 감축을 위해서도 바이오매스 등 재생 에너지자원 개발을 위한 실천가능한 과감한 정책수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Marc Londo, Sander Lensink, Andre Wakker, Gunther Fischer, Sylvia Prieler, Harrij van Velthuizen, Marc de Wit, Andre Faaij, Martin Junginger, Goran Berndes, Julia Hansson, Andrea Egeskog, Henrik Duer, Jeppe Lundbaek, Grzegorz Wisniewski, Adam Kupczyk, Kurt Konighof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4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4~250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