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습지에서의 슬러지 처리

전문가 제언
○ 그동안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오?폐수를 처리한 뒤 남은 최종 폐기물인 하수슬러지는 탈수가 곤란하고 건조할 때 나오는 악취와 소각공해로 인해 처리가 곤란했으며, 국제적으로 폐기물의 해양투기를 금지하는‘런던협약 96의정서’와 2012년부터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를 전면 금지하는 해양오염방지법이 발효됨에 따라 처리기술 및 공정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 많은 양의 슬러지가 폐기물 및 폐수처리공정 부산물로 발생하게 되며, 또한 고형 쓰레기의 처리 및 폐기는 폐수처리 설비에서 가장 복잡한 문제 중의 하나이므로 이에 따른 슬러지 관리는 도시와 산업폐수 처리에서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와 바이오고체는 액체 상태로 이의 총 고형물(TS)은 0.5∼15%로서 유기화합물이 대부분이다.

○ 본고에서는 슬러지 습지처리에 대한 현재의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문헌에 보고되어 온 슬러지의 습지처리에 대한 주요 설계특성과 기술에 대한 운전결과가 요약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는 재래의 기계적인 슬러지처리 대비 슬러지의 습지처리에 대한 효율성이 비교되었다.

○ 현재 하수슬러지(유기성 오니)는 발열량이 높아 연료로 재활용이 가능함에도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약 7,630톤/일('07년 기준)의 하수슬러지 대부분(6,220톤/일)이 해양투기, 매립,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재래의 기계적인 슬러지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운전과 관리비가 낮으며, 에너지 소모가 작고 또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특히 합리적인 환경통합형 시스템인 슬러지의 습지처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저자
Enrica Uggetti, Ivet Ferrer, Esther Llorens, Joan Garci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01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05~2912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