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삼림에서의 도로와 선형형태 시설의 개벌지대 영향
- 전문가 제언
-
○ 도로, 고속도로, 전력 선로, 천연가스 분배 선로 같은 선형형태의 기반시설들은 열대지역에서 인간 활동과 상존하는 시설들이며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면 우림은 복합적인 구조와 특유의 습하고 어둡고 안정된 미기후(microclimate)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숲의 내부구조와 하부식생 조건에 골라서 적응하고 있는 많은 종들이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숲의 가장자리에는 적응하지 못하고 회피하는 특성이 있으며, 숲에 좁게 형성되어 있는 불연속지대(clearing)도 넘어서지 못하는 취약성을 보인다.
○ 열대 종들은 생태학적 전문적 적응 종(ecological specialist)으로 숲의 좁은 불연속지대나 숲 가장자리(narrow clearing and forest edge)를 회피하는 것들과 도로 치임(road kill), 인간에 의한 포식이나 사냥 등에 민감한 종들이 포함되어 있다.
○ 실질적으로 제한을 받는 신개척지 도로는 대단히 현실적이며 열대 자연의 보존과 열대 자연의 핵심적 생태계 서비스를 촉진시키는 데 경비 효율적이다. 게다가 도로는 열대 삼림의 개방구 역할을 하여 파괴와 개간이 이 도로를 통하여 일어나고 있다.
○ 본 검토는 열대 우림에서의 도로나 다른 선형적 제거지역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다른 생태계에서보다 열대 우림에서의 다른 점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 또한 아울러 열대 종들에서 도로나 다른 기반시설에서 유래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 조치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저자
- William F. Laurance, Miriam Goosem and Susan G.W. Lauranc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24
- 잡지명
-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59~669
- 분석자
- 김*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