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연 제올라이트는 Na, K, Ca, Mg, Sr, Ba 등 양이온을 함유하는 함수 알루미늄규산염(hydrous aluminosilicates) 광물이다. 현재 광물의 종류는 mordenite, clinoptilolite, chabazite, ferrierite, heulandite, erionite, phillipsite, analcime, stilbite 등을 포함해 46종에 달한다. 이들 중 clinoptilolite가 가장 풍부하며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천연 제올라이트 광상이 존재하는 주요 국가는 중국, 일본, 불가리아, 카자흐스탄, 캐나다, 쿠바, 헝가리, 호주 등을 들 수 있다. 이 국가 중 중국은 최대 광상 부존국가로서 연간 약 250만 톤을 생산하고 있다.
○ 천연 제올라이트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이 광물은 농업용(토양개량제, 비료 혼합제 등), 수산용(해양오염 방지제, 적조현상 방지제 등), 축산용(악취 제거제, 사료 첨가제 등), 공업용(폐수처리, 건조제, 촉매제, 요업원료 등) 등으로 사용된다. 특히 천연 제올라이트는 방사능 오염에서 환경을 보호하는 완충재, 폐기물 매립지 라이너로도 사용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경주와 포항 일대에 천연 제올라이트(주로 clinoptilolite)가 매장되어 있다. 대한광업진흥공사 2007년 자료에 의하면 총 매장량은 약 2,900만 톤이다. 2006년에 약 16만 톤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었으며 중국, 슬로바키아, 미국 및 일본에서 총 2,232톤을 수입했다고 한다.
? 천연 제올라이트는 주로 토양개량제, 사료용, 공해방지용 및 못자리 흙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환경 분야(폐수처리, 수질개선 등)에는 응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 분야의 연구는 기초적 단계다.
? 연구 분야를 방사능 오염방지용 완충재, 폐기물 매립지 라이너 등으로도 넓혀 국산 천연 제올라이트의 활용방안이 개발된다면 부가가치의 향상은 물론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