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전송기술

전문가 제언
○ 이 기술은 광대역 서버의 채널 스케줄링에 의해 방송프로그램 콘텐츠가 뷰어를 통해 수신되므로 실시간성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는 확산되고 있는 국내 방송?통신 융합을 위한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구축에 있어서 P2P(Point-to- poin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전송시스템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할 때 여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미지/그래픽/텍스트 간 시간지연으로 인한 화면의 일그러짐이나 음성과 이미지의 비동기로 인한 시간간격 등이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인 수신제어모듈은 파일 형태의 방송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시로 재구성하여 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는 기 구축된 국내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통합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디지털TV 방송은 아날로그TV에 비해 5배의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어 화면떨림이나 겹침 현상이 없으며, CD수준의 음질/다국어 기능/시간?제목?채널?장르별 프로그램편성표 확인 및 예약녹화/홈뱅킹?홈쇼핑?게임 등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시청자 맞춤형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기술은 2013년 개시를 준비 중인 국내 디지털방송의 콘텐츠 전송기술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는 「2010년 디지털전환 시범사업 발대식 및 제4차 디지털방송 활성화 추진위원회」를 통해 방송설비의 디지털 전환, 대국민 홍보 강화, DTV 및 셋톱박스 보급 확대, 디지털방송 수신환경 개선, 취약계층 지원 등 디지털 전환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DTV 및 셋톱박스 보급을 위한 지상파 디지털튜너 내장, 난시청지역 해소를 위한 소출력 동일채널 중계기(주송신기와 동일주파수를 이용하는 10mW 이하 중계기)의 설치, 아날로그TV 공시청시설의 디지털화 등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디지털방송 소외계층(기초생활수급권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절실하다.
저자
BUILDING B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038829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48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