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에탄올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화석연료의 고갈에 대한 예측과 함께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인한 지구환경의 심각한 우려 때문에 대체연료의 개발이 전 세계의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수력, 풍력, 태양력, 조력, 원자력 등 에너지 생산은 환경친화적인 가장 적합한 무형에너지자원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에너지 저장기술 등이 해결과제이다.

○ 이런 관점에서 유형에너지자원인 바이오연료는 탄소중화에 의한 온실가스의 상승방지와 화석연료의 대체뿐만 아니라 Biorefinery에 의한 광범위한 화학제품제조의 원료로서 개발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이는 바이오연료는 물론 이들을 생산한 후의 잔재가 석유화학제품과 같은 여러 가지 화합물질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 때문에 그동안 바이오연료의 변환이 가장 용이한 원료로서 당이나 전분을 사용해 왔으나 식량자원과의 상충문제 때문에 곡물가의 상승을 야기하고 있어 식량자원이 아닌 셀룰로스계 바이오매스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셀룰로스계 원료로서 초본계보다 특히 단단한 목질계는 셀룰로스의 강한 결합구조 때문에 당화효소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전처리에 아직까지 많은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어 시간과 가격상 경제성 있는 공정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헤미셀룰로스에서의 5탄당 발효에 있어서도 새로운 재조합효모 등이 개발 중에 있다.

○ 이러한 전처리공정이나 효모가 개발되면 우리나라도 이러한 초본계나 목질계 원료의 활용에 많은 가능성이 생길 것이다. 그러나 기후관계상 열대지방과의 경쟁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를 극복하려면 기후 등 환경조건에 구애받지 않는 새로운 공정 예를 들어 대사공학적인 방법으로 광합성유전자를 이용함으로써 재조합된 미생물로 당을 생산하는 것과 같은 연구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자
Sei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7(7)
잡지명
生物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28~332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