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구환경에 공헌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전문가 제언
○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 올레핀,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범용성 고분자와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아미드계 등으로 많은 종류가 만들어지고, 가공성이 일반 플라스틱과 유사한 성형기를 이용하므로 최근에 응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용도로는 자동차 내장재 및 일부 외장재, 신발, 스포츠용품, 전선, 의료용 기구 등에 널리 응용되고 확대되면서 특히 리사이클성이 좋기 때문에 현재 자동차 내장재인 경우는 70% 정도까지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 본 문헌에서는 가황고무를 대체할 수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TPU는 사용하는 폴리올의 종류에 따라 특성이 크게 달라지고, 요구 품질에 따라 선택의 종류와 폭이 달라진다.

○ TPU는 열가소성수지로서 사출성형, 압출성형, 캘린더(calender) 성형, 폴리머 블렌드 등 여러 가지 성형이 가능하다. PVC 대체 용도로서 캘린더 성형에 의한 운송 벨트, 시트, 합성피혁 등 자동차 내장재에 검토되고 있다. 차량용 인패널(in-panel) 스킨에는 블로 성형 방법을 사용한 용도 전개가 검토되는 등 TPU의 성형방법도 다양화하는 경향이 있고, 그에 대응하는 재료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 고무나 PVC의 대체 재료로서의 TPU는 비 할로겐 소재로 용제 규제(VOC)에도 문제가 되지 않고, 리사이클이 가능한 점 등 환경 적응성이 높다. 최근 지구환경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여 가전 메이커와 자동차 메이커 등을 중심으로 자원 절약,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TPE는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시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연질 PVC의 대체 재료로서의 수요도 증가되고 있다.

○ PU의 구조와 물성을 밝히는 것이 어렵기 때문일까, 최근에는 학술적 연구 대상으로부터 멀어지는 감이 있다. 그러나 불명확한 사실이 많을수록 새로운 물성 발현의 요소도 그만큼 가지고 있다. 향후 보다 많은 연구자가 참여함으로써 PU의 패러다임이 변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Matsumura Nobuhik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57(12)
잡지명
JETI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7~111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