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빙하기 및 중세기후 이상기의 지구 징후와 역동성의 기원

전문가 제언
○ 지난 10년 동안 기후 프락시 데이터(climate proxy data)를 사용하여 지난 세기 동안의 대규모 추이가 재구성되었으며 여기에는 이 추이 내에서 자연과 인류가 만든 작용력의 역할을 평가하는 기후 모델이 사용되었다. 기후변화의 과거 형태를 이해하는 것은 미래의 기후변화의 영향을 알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지역규모의 예측에 아주 유용할 것이다.

○ 지난 1500년 동안에 걸쳐서 지구온도는 변동하여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공간적인 형태는 어떠한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지구 기후 프락시 망(global climate proxy network)이 사용되어 이 기간 동안에 걸친 지표면 온도의 형태가 재구성되었다.

○ 중세 기간은 일부 구역에서 지난 10년간의 온도와 같거나 그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지구 전반적으로는 최근의 수준 이하였음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기간은 열대 태평양에서의 조건과 비슷한 라니냐에 의한 경향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 지난 천 년에 대해서 가장 그럴 듯한 기후변화의 설명을 하고 있는 모의 모델에서 두 가지의 결과가 검토되었으며 여기에는 두 가지의 요소가 작용하고 있는데 태양 발광의 변화(solar irradiance change)와 폭발화산의 분출(explosive volcanic eruption)로부터 나온 성층권 연무질(stratosphere aerosol)의 형성이다.

○ 소빙하기(Little Ice Age)의 가장 낮은 온도가 1400~1700년 사이에 온대 북반구 대륙에 걸쳐 대형 냉각작용과 함께 관찰되었다. 온도변화의 형태는 엘니뇨와 북대서양 진동(North Atlantic Oscillation) - 북극 진동(Arctic Oscillation)과 연관되는 자연적 방사 작용력의 변화에 대한 기후의 역동적 반응으로 나타나고 있다.
저자
Michael E. Man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26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56~1260
분석자
김*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