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콘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멀티스트림 수신시스템

전문가 제언
○ 이 기술은 홈 네트워크의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에 리소스 관리도구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송수신시스템 등의 공통 자원(특히 튜너)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기술적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을 사용하면 CPE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좀 더 쉽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은 콘텐츠 요청 시마다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튜너를 제어하고 관리해야 하지만, 이 기술은 이를 리소스 관리 도구에서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제어하지 않고 리소스 관리도구와 통신하면서 처리할 수 있는 점에서 기술적 및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국내 통신 사업자들은 최근 오픈 IPTV 서비스를 준비하면서 새로운 콘텐츠 유통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사업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인 리소스 관리도구는 일종의 마이크로 미들웨어로서 셋톱박스에 적용할 경우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처럼 셋톱박스용 앱스토어도 가능하게 되면서 셋톱박스 및 IPTV 시장이 좀 더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향후 5년 이내에 통신/방송/네트워크의 대표 기기인 휴대폰/TV/PC가 인터넷과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3 스크린플레이 서비스가 보편화될 전망이다. 이를 대비하여 이 기술의 핵심인 콘텐츠 분배방식을 홈 네트워크에서 인터넷까지 확장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위한 사업자/제조사간 협력이 필요하다.

○ 이 기술을 개선하여 하드웨어 자원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프로그램/콘텐츠까지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리소스 관리 도구를 대신할 수 있는 콘텐츠 매니저나 표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용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TIME WARNER CABLE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10523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4
분석자
이*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