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L-6 앰프(Amplifier)와 염증성 질환

전문가 제언
○ Interleukin-6(IL-6)은 염증성의 Cytokine으로서 그 기능을 차단하게 되면 자기면역질환이 억제된다. 그러나 IL-6 같은 Cytokine이 세포에 작용해서 자기면역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은 얼마 전까지도 알지 못하고 있었다.

○ 본 리뷰에 의하면 자기면역질환의 발증 원인은 섬유모세포(fibroblast)에 IL-6이 작용함으로써 T세포의 생존을 촉구하게 되며, IL-7이 매개함으로써 IL-17을 생산하게 하는 Helper T세포를 유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 또한, IL-6-STAT3 시그널과 IL-17-NF-κB 시그널이 상호 협조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IL-6 생산을 촉구하여 IL-6 Amplifier가 섬유모세포에서 생긴다는 것을 저자들이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 Interleukin-6(IL-6)은 질병과의 관계에서 대부분의 자기면역질환환자의 혈청 중이나 또는, 국소 중에는 IL-6이 정상치 이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류머티즘환자의 관절 활액(滑液)중에는 IL-6이 과잉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지금은 항IL-6수용체가 류머티즘 치료약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많은 류머티즘환자들에게 희소식을 전하게 된 것이다.

○ 앞으로 자기면역질환 치료 약품 개발의 목표로서 IL-17A의 하류의 섬유모세포에 존재하고 있는 IL-6 Amplifier의 통제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현재 항IL-6 수용체 항체가 관절류머티즘 등의 자기면역질환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염증성질환의 증례로서 그의 유용성이 시사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 제약기업에 이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저자
Mura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28(11)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07~1112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