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콘크리트공업의 녹색화

전문가 제언
○ 콘크리트는 각종 건축구조물의 주재료로 품질과 원활한 공급이 중요한 산업활동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주택공급을 위한 신도시 건설과 도로 항만 건설에 다량의 콘크리트와 골재자원이 소요되어 일시적이나마 수급난을 겪는 사태도 일어났다.

○ 특히 모래, 자갈 등의 골재자원 부족이 건설산업에 타격을 주었는데, 이 문제는 장기간 지속되는 현상으로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그 대책으로 각종 산업폐기물을 재생조골재로 활용하는 것이다.

○ 본 보고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화력발전소의 부산물로 다량 발생되는 플라이애시(flyash)는 홍콩에서 93.7%가 재활용되고 있고, 뉴욕에서는 슬래그(slag)를 70%를 시멘트 혼화재로 소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일부 폐 재는 좋은 대체골재로 인정받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재생조골재의 활용률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 산업폐기물을 재생조골재로 활용할 경우 고려되어야 할 것은 중금속, 철분과 같은 유해성분을 사전 검사하여 분리한 후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재생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 내구성 평가 등을 통하여 장기적인 성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추진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정부는 올해를 녹색성장 전략의 실행모드 돌입의 해로 정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10대 핵심녹색기술개발 등의 7대 실천과제를 선정하였다. 콘크리트산업은 각종 신소재의 개발과 경량화를 촉진함으로써 에너지절약과 탄소배출 억제에 기여함은 물론, 자원순환이용으로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C. Mey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1
잡지명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01~605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