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자석의 최근 시장동향
- 전문가 제언
-
○ 영구자석은 현대사회에서 전기, 전자기기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공업재료로 앞으로 에너지 절약기술이나 지구온난화 대책으로서도 유효한 기능재료로서 많은 분야에서 산업을 뒷받침하고 있다.
○ Alnico자석이 주류를 이루다가 최근에는 값싸고 자원이 풍부한 페라이트자석으로 대체되고 다시 네오디뮴의 금속간 화합물인 Nd2Fe14B가 1980년대에 등장한 이래 현재까지 최고성능의 영구자석으로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기기의 소형 고성능 액추에이터나 모터 등에 널리 사용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 종래의 페라이트자석을 대체할 고성능 자석을 찾고 있던 중 네오디뮴 자석이 발명되어 앞으로는 자동차 동력부문과 산업용 모터 등에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은 희토류금속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7년에는 Alnico자석, 소결자석, 본드자석 합해 461,000톤을 생산하여 세계의 63.4%를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시장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대부터 KIST에서 Nd-Fe-B계 영구자석이 개발되어 왔으며 2000년부터는 (주)만도,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등에서 희토류 영구자석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이 자석이 소형전기 전자부문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고 자동차와 산업기계용 모터에 사용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영구 자성재료의 안정된 원료확보와 연구는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ISHIGAKI Naoy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9(8)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82~687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