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무실용 IT기기의 에너지절약

전문가 제언
○ 기업의 사무실용 PC의 전력소비 성능을 보면 보통은 데이터센터나 서버 실만이 주목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업의 IT에 의한 CO2 배출량을 보면 서버가 점하는 비율은 20%가 조금 넘는 정도에 불과하다.

○ 즉 실제로는 PC가 전체적으로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어서 전력절약의 여지가 큰 실정이다. 사실상 사무실용 IT기기의 CO2 배출량 가운데 약 40%를 PC와 모니터가 점하고 있다. 따라서 PC와 모니터에 의한CO2 배출량은 이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되고 있다.

○ PC는 주로 반도체제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의 전력소비량 절약을 여하히 진행시키는가가 열쇠가 된다. 반도체제품의 저소비전력화의 중요한 요소는 제조프로세스의 미세화 즉 “Moore법칙”의 추구이다. Moore법칙은 세계최대 반도체메이커인 Intel사 창설자의 한사람인 Dr. Gordon Moore가 제창한 “반도체의 집적밀도는 18~24개월에 배증한다”라는 법칙이며 이때까지 Intel은 Moore법칙에 따라 반도체제품의 고집적화와 성능향상을 실현해 왔다.

○ 이에 따라 30년 전과 비교해서 1 Transistor당 소비전력은 100만분의 1이하와 회로 내부의 Leak전류도 대폭으로 삭감되었다. 그리고 재료연구의 획기적 성과인 High-k(고유전율 게이트 절연 막)재료의 특정에 의해서 세계적으로 앞서서 45nm 프로세스기술을 실현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65nm 프로세스기술에 비하여 약 2배의 집적도와 20% 이상의 동작주파수 향상 및 약 30%의 소비전력 삭감을 실현하였다. 따라서 이 반도체 프로세스의 미세화에 의한 전력의 절약화는 기술혁신이 진전될수록 더 높은 효율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결론적으로 사무실용 PC의 소비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PC를 고성능?전력절약형으로 대체하는 것과 함께 PC의 운용방법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기업이 취업시간 중 PC를 항상 동작시키고 있는 경우가 많음으로 이를 PC의 동작기능을 조금만 활용해도 전력의 낭비는 크게 삭감할 수 있다고 본다.
저자
A SA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61(1)
잡지명
省エネルギ―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7~53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