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생제 및 항생제 내성 결정인자에 의한 환경오염

전문가 제언
○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2004~2007년에 한강의 잔류의약품과 항생제 성분을 조사한 결과, 한강 하류에서는 감기약과 소염제 계통의 성분이 많았고 상류에서는 동물항생제 성분이 많이 검출된 바 있다. 스웨덴 오슬로 시에 있는 병원의 폐수처리장 출구와 도시 하수처리장의 입구 및 출구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항우울제,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진통제, 고지혈증조절제, 고혈압조절제, 항진균제 등의 각종 성분의 약품이 검출되었다. 우리의 사정 또한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 국내의 농수축산업계에서 사용한 항생제를 보면 2004년 기준 1,291톤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는 사용가능한 항생제도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 수산양식의 70% 이상을 생산하는 중국을 보면 항생제 사용의 통계조차 잡히지 않고 있다.

○ 사람이 치료용으로 복용하는 항생제를 비롯한 약물과, 농수축산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의 상당량이 체내에서 완전히 대사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 약물은 하수처리장에서도 완전히 제거가 되지 않고 환경으로 들어가서 자연계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변이를 일으켜서 내성을 갖도록 만들어준다. 이렇게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는 순식간에 전 세계로 퍼져 나가게 되어 대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
○ 지금 필요한 과제는 각 나라가 항생제의 사용통계, 환경으로 배출하는 양과 종류, 환경 및 미생물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평가가 이루어지면 전 세계적으로 불필요한 항생제의 사용을 줄여나가고 하수처리장에서 항생제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변종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출현과 확산은 한 나라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러한 일들은 WHO의 감독 아래 국제적 조약으로 규제되어야 한다. 변종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의 세계적 유행은 SARS와 이번의 신종 인플루엔자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저자
Jose Luis Martine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57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93~2902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