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혁신시스템의 변화 해설
- 전문가 제언
-
○ 과학, 기술 및 혁신정책의 역사는 경험적 도전과 분석적 해석으로 일관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초기에 IBM과 같은 미국의 다국적 기업 성공에 관한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및 공공정책의 역할에 관한 연구로 시작되었다. 이후 경험적 도전에 대한 분석적 해석은 여러 학문분야에 걸쳐서 널리 적용하면서 혁신처리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혁신시스템(SI)이라는 학문적 접근방법이 대두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컴퓨터 등장 이후 미국 사회 3대 격변을 인터넷 등장, 대테러 문제, 그리고 생산성 가속으로 정의하고 있다. 인터넷 등장으로 수많은 벤처기업이 생성과 소멸을 거듭했으며, 현재 대표적인 기업은 Amazon, eBay, Yahoo, 그리고 Google 정도가 살아남아 있다. 9.11테러는 미국 국민에게 진주만과 스푸트니크 정도의 충격을 주었고 냉전 이후 대테러 문제가 제일 큰 이슈로 떠올랐다. 그리고 현재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의 생산성 증가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 미국은 재원을 빨리 재할당함으로써 혁신을 활용하고 기술 확산과 시장창출 과정을 상승시켜 이득을 취하고 있다. 과거 10년은 미국 혁신시스템에서 지속적인 혼합과 한계변화(bounded change; 지속성과 변환 중간에 위치하는 한정된 변화)로 특정될 수 있다.
○ SI는 이러한 급변하는 상황에서 관련 문제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문화적 내재성, 상호교류, 내인성 제도변화, 크기문제 등 4가지 개념을 허용할 수 있는 국가혁신시스템을 건설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 한국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에서 선진국 수준이므로 인터넷 기업, 북한의 핵공격에 대한 국가안보, 그리고 서비스 특히 물류서비스 분야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SI(혁신시스템)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SI 프레임워크를 구성할 때 한국 실정에 적합하고 미래 지향적인 주요 요소를 반드시 사전에 설정해야만 한다.
- 저자
- David M. Har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38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647~654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