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시스템 정보화,고도화의 현상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생산 시스템 내외의 동적인 변동에 적응 가능한 시스템 구성방법으로서는 생산 시스템을 자율분산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홀로닉 생산 시스템과 생물지향형 생산 시스템 등을 제안하고 있으며, 그 유효성도 확인되었다. 자율분산 시스템에서는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량과 달성되는 성능에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숙지되어 있다.
○ 글로벌화 되어 가고 있는 기업 간의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제품개발과 개량을 꾸준히 반복하여야 하며, 제품의 다양화와 소비의 수요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자동화를 위한 설비투자나 설비개조비용, 그리고 운영비용 등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생산 시스템의 고도화는 물론, 저비용으로 유연성 있는 생산 시스템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 최근 들어 일본의 Mitsubishi 전기와 Kyoto 대학이 로봇에 의한 자동화 셀 생산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관절형 로봇과 가동식 부품 공급대, 그리고 완성품 불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3차원 비전 센서에 의한 부품의 위치인식 기술로서 로봇 자신이 작업동작에 학습하는 기술, 그리고 오류 발생 시에 정상상태로 복귀하는 기술 등이 내포되어 있다. 여러 가지 작업공정에서의 이용이 추진됨과 동시에 작업자의 기능에 버금가는 자동화 셀 생산 시스템의 등장이 기대된다.
○ 우리나라의 현대?기아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자동차 산업은 대표적인 종합기계 조립 산업으로 생산, 유통, 이용단계에서 많은 산업과의 연관 효과가 매우 크다. 400여개의 1차 협력업체와의 네트워크 조정 통합이 필수적이다. 또한, 다양한 기술과 복잡한 가치사슬(value chain)로 구성된 종합적인 생산 시스템으로 전문화, 표준화, 자동화의 정밀도가 높은 신기술과 신 생산 시스템의 도입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Toshiya Kaih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75(10)
- 잡지명
- 精密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153~1157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