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 발전과 유리

전문가 제언
○ 태양광 모듈의 기판에 사용되는 유리는 규산염유리인 소다석회유리(Soda-Lime-Glass)를 사용한다. 기판에 사용되는 유리는 플로트공법(Float Process)과 롤-아웃(Roll-out)공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대부분의 건축용 유리와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용 판유리는 상기의 공법으로 제조한다.

○ 태양광발전에 사용되는 태양광선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으로 파장범위가 380~1,100㎚를 주로 이용한다. 태양광선은 유리표면에서 1차 반사가 일어나며 유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흡수되고 다시 유리를 빠져 나오는 과정에서 반사가 발생한다. 태양광선을 최대로 투과시키기 위해 유리표면에 특수 요철무늬를 만들어 반사를 줄이고 유리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 판유리 중의 철분 함유량을 200ppm 이하로 관리하는 특수유리를 저 철분 유리라고 한다. 철분의 함유량이 낮아 태양광선 투과율이 높아지는 광학적 특성의 향상 이외는 유리의 제조공법이나 물성은 기존의 판유리와 같다.

○ 국내에서는 한국유리와 KCC가 플로트유리를 생산하고 LCD용 유리는 삼성코닝정밀유리가 제조하고 있다. 모두 생산규모나 기술은 국제적인 수준이다. 저 철분유리는 고 순도의 원료와 관리가 필요한 제품이다. 과거에는 미국, 유럽 등에서만 생산하였다. 현재는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유리가 제조하고 있다. 다만 저 철분 무늬유리는 전량 수입되고 있다.

○ 국내에서 태양전지용 유리 생산에 대한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된다. 향후 건물의 창유리가 채광기능과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기 역할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 유리와 박막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철저히 대응한다면 판유리 업계에도 좋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Yukinori Kuwa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24(2)
잡지명
ニュ-ガラ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14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