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에너지와 고효율 건축물

전문가 제언
○ 현재 지구온난화는 인류의 활동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효과가스, 특히 CO2 배출 증가가 주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CO2 배출은 상당한 부분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어 각 분야의 에너지절약은 온난화방지를 위한 핵심적인 대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 태양에너지는 이용하는 시간대, 계절, 기후 등의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지만 비교적 저비용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여기에 건축분야는 세계적으로 전 에너지소비 중 가장 높은 비율(한국 약 24%, 미국 약 36%)을 점유한다. 따라서 건축분야의 태양에너지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 이를 위해 건물의 에너지소비 항목인 난방, 급탕, 냉방, 조명에 있어서 태양에너지를 활용한 다양한 에너지절약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로서 창문을 통한 태양에너지 차폐 및 통과, 그리고 외벽?지붕에 대한 단열?기밀성 시공이 적용된다. 여기에 고효율 설비를 적용함으로써 태양에너지로 많은 양의 화석에너지 및 전력을 대체할 수 있다.

○ 국내의 친환경주택 동향으로는 2009년 11월, 용인시 동백지구에서 공개된 삼성물산(건축부분)의 “그린 투모로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주택은 기존 주택 대비 에너지소비가 56% 절감되고, 잔여 에너지 44%는 태양광, 태양열, 지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 따라서 전력과 화석연료가 전혀 소비되지 않는 친환경주택이다.

○ 이상과 같이 친환경 건축물의 확대를 위해서는 태양에너지 외에 재생에너지, 특히 지열이용을 적극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고효율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물론 태양열?지열 냉난방시스템, 태양광 채광시스템 등에 대한 고효율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온수 및 환기의 열회수 기술, 고효율 열교환 기술, 시스템제어기술 등 관련요소 기술향상도 필요하다.
저자
Takashi Inou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83(11)
잡지명
空氣調和衛生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23~930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