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수침투를 받는 호주 해안대수층과 그 관리

전문가 제언
○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에 의하면, 세계인구의 약 40%는 바닷가에서 60㎞ 이내의 해안지역에 몰려 살고 있다(2002년 기준). 그래서 특히 지표수가 넉넉지 못한 해안지역은 물 공급을 지하수에 많이 의존하고 있어 대수층은 과잉양수로 해수침투에 시달리고 있다.

○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로 이름난 국가는 인도, 이스라엘, 중국, 스페인, 포르투갈, 이집트, 터키, 미국 등을 들 수 있다. 스페인에선 해안대수층의 약 60%가 해수로 오염됐다고 한다. 1999년 터키 Mersin지역의 해안대수층은 해수침투로 지하수 염소이온농도가 무려 3,000㎎/L까지 돼 모든 취수정을 폐쇄했다.

○ 미국도 바다와 접한 주 대부분의 해안대수층이 1924년부터 해수침투 피해를 받았는데, 특히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에서 그 정도가 심했다. 캘리포니아 Orange County와 Santa Clara County는 인공함양으로 해안대수층을 해수침투로부터 보호하는 데 성공했다.

○ 염소이온의 우리나라 지하수 수질기준은 먹는 물,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 모두 250㎎/L이며 공업용수는 500㎎/L이다. 따라서 해안대수층이 해수침투를 받아 염소이온농도가 진해지면 지하수 용도는 제한을 받는다.

○ 제주도는 해수침투에 의한 지하수의 염수화를 예방하고자 2001~2010년간 해수침투 감시 관측시스템 사업을 수행 중이다. 또한, 제주시 오동동 한천에 2개 저수지를 설치해 저장한 빗물을 20개 함양 정을 통해 대수층에 물을 공급하는 인공함양사업(2007~2011년)을 벌이고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버려지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홍수와 해수침투 위협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특히 우리나라 서 및 남해안 대수층은 해수침투의 위협을 더 받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 고로, 앞으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해안대수층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저자
Adrian D. Wern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8(1)
잡지명
Hydrogeolog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1~285
분석자
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